인간들끼리야 뭐 상관 없는 얘기고,
AI는 언제 수틀려서 전쟁을 하게 될까?
확실히, 초반에는 관계가 심지어 -로 떨어져도 화만 팍팍 내는 티가 날 뿐 바로 전쟁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데, 후반에는 관계가 좋은데도(심지어 +10이상에서도!) 자꾸 전쟁을 거는 경우가 있지.
이글에서는 구체적으로 AI의 적극성...및 무조건 전쟁을 하게 되는 조건을 알아보고자 한다.


세력별 적극성의 변화 - 정복 모드 시작
 소위 후반부에 대한 이야기. 언제부터 AI가 제 목소리를 내기 시작하느냐...
 언제라는 개념이 턴으로 계산되는 것은 아닌데, 바로 AI마다 입장이 다르기 때문이다. 그 입장의 차이는 바로 특정 연구의 완료 시점으로 결정된다.
 물론, 정복 모드가 발동했다고 바로 관계 나쁜 세력에 대해 전쟁을 선포하지는 않고, 어느정도 랜덤 함수가 작용하기는 한다. 뭐 언젠가는 터질 폭탄이 된다는거야 마찬가지니까...게다가 어떤 이유로든 한번 전쟁을 하게 되면 뭐...
 당연한 이야기겠지만, 정복 모드가 활성화 되면 건물이나 유닛 생산의 패턴도 바뀐다.

배너: 광신주의 연구 완료
 ○도날 루의 등장 시점이기도 하거니와...이때부터 성전이 발동되기 때문이겠지. 이것들은 전쟁터지면 짤없이 성전 지른다. 성전을 질러 놔야 광역 주문도 쓰니까...
  한번 전쟁 시작하면, 배너쪽에 팀 멤버가 더 있다면 모를까 외교로는 못끝내는거 알지?

말라킴: 성직 연구 완료
 ○광역 주문 사용 가능 시점이지. 쏟아지는 라이트브링어가 각 종교 사제로 전직 가능한 시점이기도 하고.

엘로힘: 성직 연구 완료
 ○몽크 생산 가능 시점이다. 그런데...사실 엘로힘은 정복 모드 들어가도 전쟁 선포 잘 안하기는 한다.

머큐리안: 철제기술 연구 완료
 ○근데, 사실 머큐리안 등장 시점이면 이미 철제기술 정도는 연구되어 있을 가능성이 농후하지... 

러취프: 마법 연구 완료
 ○이 시점이면 골렘에 공짜 승급을 붙여주는 전용 건물들을 거의 다 지을 수 있다. 골렘으로 먹고 사는 만큼 골렘이 더 강해질 수 있을 때부터 싸우게 만든 듯.

큐리오테이츠: 등자 연구 완료
 ○켄타우르 궁수 생산 가능 시점이다. 주지했듯이 이녀석은 기마 유닛이지만 방어 보너스를 받는다!
  도시 숫자에 한계가 있어서 전쟁이 장기화되면 장거리 원정이 불가피한 세력 특성상 이때부터 전쟁하도록 만든거 같은데...

료살파르: 마법 연구 완료
 ○식목일에 앞서, 산불 제압을 위한 마법사 확보를 우선시 한 거 아닐까?

카자드: 철제기술 연구 완료
 ○존재감 없는 영웅 마로스의 생산 가능 시점이다. 사실 영웅에 비중을 뒀다기보다, 트레뷰쉐와 백병 계열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미룬 시점이라는 느낌이다.

시다: 독 연구 완료
 ○숨는게 특기인 시다 입장에서, 숨어서 가장 큰 효과를 보는 정찰 계열만 확보되면 장땡이다 이거지.

라넌: 철제기술 연구 완료
 ○함상 전투원의 생산 가능 시점이라는 것은 본격적으로 배의 나포...즉 해적질 최적기이다--; 뭐 물이 없다면야 조심할 것은 별로 없지만...

그리고리: 의학 연구 완료
 ○그리고리 의무병 생산 가능 시점이다. 충분히 후반이라서, 그리고리의 장기인 영웅 파티가 꽤 구성된 이후이므로 고급 유닛을 상대할 가능성이 높다.

히푸스: 등자 연구 완료
 ○단, 타슨케의 경우 승마 연구 완료 시점부터. 과연 최종 보스답다--;

애뮤리츠: 향상된 궁술 연구 완료
 ○마법 연구 시점 아닐까...라고 생각할 지도 모르겠지만, 이 시기가 애뮤리츠의 자랑, 공방 일체의 재주꾼 화궁사수 생산 가능 시점이다. 충분히 납득 가능하다.

도비엘로: 축제 연구 완료
 ○적어도 늑대 우리는 도시마다 지을 거 같군;; 얘들은 크게 신경 안써도 되지 않아?

발제라프: 철제기술 연구 완료
 ○미믹의 생산 가능 시점부터 전쟁 시작한다는 소리. 그리고 이 시점 이후 뜬금없이 선전포고를 하기도...
  단, 퍼펜타치의 경우 건설 연구 완료시점부터 똘끼를 발휘한다. 에라 이놈아--;

오크클랜: 석공술 연구 완료
 ○사육장 건설 가능 시점...즉...인해전술 가능 시점이지--; 더 설명이 필요 한가?
 
스바르탈파르: 마법 연구 완료
 ○료살파르와는 이유가 다르다고, 같다고 볼 수도 있는 것이...마법사라는 존재는 불만 끄는게 아니라 공성 병기 역할도 해야 하거든.

칼라빔: 봉건주의 연구 완료
 ○당연히 흡혈귀 생산 가능 시점부터. 이건 인간이라도 진리겠지.
  단, 알렉시스의 경우 청동기술 연구 완료시부터...모로이를 데리고?
 
쉐아임: 청동기술 연구 완료
 ○불타는 좀비 생산 가능 시점이다...동귀어진 동귀~어진...전쟁을 더 미룰 필요가 없지. 어차피 투사급 유닛도 없겠다...

인페르날: 철제기술 연구 완료
 ○사실 인페르날은 그 이전에 어떤 이유로든 전쟁할 가능성이 농후하다...

일리안: 철제기술 연구 완료
 ○윌보맨의 등장 시기...에 의미가 있다기 보다는, 역시 시기를 최대한 뒤로 미루었다는 느낌이다. 이쯤이면 겨울의 사제들도 대사제가 되어 있을 테니까.
 

절대조건 - 무조건 전쟁이다!
 이하의 조건은, 만족될 경우 그동안의 관계와 상관없이 반드시 전쟁 상태로 돌입하게 된다...
 물론, 같은 팀이거나 종속 상태면야 관계 없겠지만...
 모든 판정은 턴 종료시에 이루어진다. 따라서 몇몇 경우에는 회피가 가능하다!

일리안 세력이 의식 드로우 완성시
 ○모든 세력으로부터 선전포고
  일리안 항목에도 있지만 덤으로 이후 적들과 외교가 불가능하게 바뀌기 때문에...각오는 되어 있는가?

인페르날 소환시
 ○인페르날을 소환한 팀과 전쟁중인 팀에 대해, 인페르날도 선전포고
  종교같은거 안따진다!

지배의 탑Tower of Mastery 건설중
 ○전쟁중이지 않은 상태의 모든 세력으로부터 선전포고
  그러니까 지금 먹고 살만한 애들은 저놈봐라? 한다는 소리지...발등에 불떨어진 애들이야 발등부터 신경쓰고.
  다만, 어디까지나 턴 종료때 건설중인 것이 판별되면 선전포고를 하는 것이기에, 한턴에 완성해 버리면 회피가 가능하다. 근데 어차피 이거 짓는다는 건 전쟁이고 뭐고 게임 승리가 임박했다는 소리인데...피할 필요가 있나?

루온노탈의 제단Altar of the Luonnotar 단계에서 신성한Divine 혹은 극상의Exalted 보유중
 ○전쟁중이지 않은 상태의 모든 악 세력으로부터 선전포고
  지배의 탑 조건과 더불어 다들 잘 알고 있는 조건이지?
  루온노탈의 제단은 상급 단계를 완성하는 순간 하급 단계가 사라지도록 되어 있으므로, 각 제단이 겹쳐지지 않는다.
  역시 루온노탈의 제단 최후의Final 단계를 한턴에 완성하면(대체 위대한 기술자가 몇이 필요한거냐...) 회피 가능하다. 이건 짓는데 시간이 너무...피할 수 있나? 뭐 상관없지만.

국교 잿빛 장막
 ○머큐리안으로부터 선전포고
  과연 징한 것들. 보통 머큐리안은 팀을 이룬다! 뭐 세력이 작은 경우가 태반이기는 하지만...

아마게돈 카운터 20 초과
 ○료살파르는 자신보다 순위가 낮은 스바르탈파르에게 선전포고.
 ○스바르탈파르는 자신보다 순위가 낮은 료살파르에게 선전포고.
  괜히 시나리오(Splintered Court)가 있는게 아니지. 끼어들게 되지 않도록 조심하자. 약한 쪽하고 상호 방위 조약 같은거 체결해 뒀다가는 빼도박도 못한다.

아마게돈 카운터 40 초과/인페르날/도비엘로
 ○전쟁중이지 않은 상태의 악 세력은 꼴찌에게 선전포고.
  도비엘로야 뭐 초반에 전쟁 안하면 망하니까 뭐...이해 된다. 꼴찌라도 털어 먹어야지. 다만 악 성향이 아니게 되면 해당 없고...
  인페르날이야 악 성향이 아닐 리가 없으니까...


뭐 본편에 비해 모드는 난이도가 쉽기는 하지만, 그래도 알아둬서 나쁠 것은 없겠지? 특히 전쟁 안하고 승리하고 싶은 사람들에겐.
 


'씨앗 농부의 하수인 > FfH2 가이드/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영웅 고찰  (0) 2011.09.19
지옥의 지형  (0) 2011.09.18
Weakest Faction, Doviello  (0) 2011.09.07
Fall from Heaven 2 안내  (0) 2011.08.09
FfH2 팁 - Balseraphs: Infinite Balor & Beastmaster  (0) 2011.08.06
죠니 사사키가 작성한 글입니다.
,